마음놀이터 : 심리치료/심리상담

마음백과사전

유용한 정보

2032년엔 전체 취업자 수 쪼그라들기 시작... 한은, "인구보다 취업자 수 더 빠르게 감소해 부양 부담 크게 늘 것" 경고

마음백과사전 2025. 6. 18. 22:25
반응형

2032년엔 전체 취업자 수 쪼그라들기 시작...

한은, "인구보다 취업자 수 더 빠르게 감소해

부양 부담 크게 늘 것" 경고

유소연 기자 2025.06.17.

 

2032년이면 한국의 취업자 수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경고가 나왔다. 취업자 수가 늘어나면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고, 경제가 성장하면 일자리가 늘어 취업자가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몇 년 뒤에는 이 같은 선순환 구조가 끊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한은이 17일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를 고려한 취업자 수 추세 전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의 최근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10만명대 후반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경기에 따라 들쭉날쭉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국의 인구 구조상 늘어날 수 있는 연간 취업자 수가 10만명대 후반 정도에 그친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취업자 증가 규모는 꾸준히 낮아져 왔다. 한국 성장률이 떨어진 것과 유사한 궤적이었다. 2011~2015년 40만명에서 2016~2019년 19만명으로 낮아졌다.

 

그런데 이 같은 증가 폭이 2032년부터는 아예 마이너스가 된다는 것이다. 15세 이상 인구가 2033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그간 상승세를 보였던 경제활동 참가율도 2030년쯤부터는 하락세로 접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전체 취업자 수는 점점 줄어 2050년쯤엔 2024년 취업자의 90%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이 과정에서 한국 경제가 상당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금 및 의료비 지출 비율이 현재 10% 수준에서 2050년에는 20%로 늘어나면서 부양 부담이 크게 늘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보고서는 경제 전반의 구조를 개혁해, 생산성과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출생률을 좀 더 높이고, 여성의 경력 단절을 해소하고, 은퇴 연령층을 계속 고용하는 등의 구조 개혁에 성공하면, 취업자 수가 마이너스가 되는 시점을 몇 년 정도는 더 늦출 수 있다는 것이다.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5/06/18/ZLJZUC5S2NAVXPTDHIYYPWGHBM/

반응형